북한 김여정 ‘알쏭달쏭 담화’ 앞과 뒤

“올해 조·미 수뇌회담 같은 일 일어나지 않을 것”

인터넷뉴스팀 | 기사입력 2020/07/17 [16:08]

북한 김여정 ‘알쏭달쏭 담화’ 앞과 뒤

“올해 조·미 수뇌회담 같은 일 일어나지 않을 것”

인터넷뉴스팀 | 입력 : 2020/07/17 [16:08]

‘또 모를 일’ 사족 달며 “두 수뇌 판단 따라 어떤 일 돌연 일어날지도”
“지금 회담 한다면 미국 자랑거리 이용…적대시 철회해야 협상 재개”

 

 

김여정 북한 노동당 제1부부장(사진)은 지난 7월10일 연내 북미정상회담 성사 가능성을 일축하고, “미국의 중대조치가 취해져야 북한 비핵화도 가능하다”고 밝혔다.


김 제1부부장은 이날 발표한 담화에서 “조·미 수뇌회담(북·미 정상회담)이 누구의 말대로 꼭 필요하다면 미국 측에나 필요한 것이지 우리에게는 전혀 비실리적이며 무익하다”며 “어디까지나 내 개인의 생각이기는 하지만 모르긴 몰라도 조·미 수뇌회담과 같은 일이 올해에는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김 제1부부장은 “하지만 또 모를 일이기도 하다. 두 수뇌의 판단과 결심에 따라 어떤 일이 돌연 일어날지 그 누구도 모르기 때문”이라고 전제하면서도 “올해 중 조·미 수뇌회담은 그 가능성 여부를 떠나 미국이 아무리 원한다고 해도 우리가 받아들여주면 안 된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그 이유로 “새로운 도전을 해볼 용기도 없는 미국 사람들과 마주 앉아야 또 다시 우리의 시간이나 때우게 될 뿐이고 그나마 유지돼 오던 수뇌들 사이의 특별한 관계까지 훼손될 수 있는 위험이 있으며, 쓰레기 같은 볼튼이 예언한 것이기 때문에 절대로 그렇게 해줄 필요가 없기 때문”이라고 했다.


김 제1부부장은 또한 “미국은 우리 지도부와의 계속되는 대화만으로도 안도감을 가지게 돼 있고 또 다시 수뇌들 사이의 친분관계를 내세워 담보되는 안전한 시간을 벌 수 있겠지만, 우리는 미국과의 협상에서 거둬들일 그 어떤 성과도 없으며 기대조차도 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김 제1부부장은 북·미 대화가 재개돼도 하노이 북·미 정상회담 협상안으로 돌아가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 북한은 이미 지난해 6월30일 판문점 북·미 정상회담 이후 대북 제재 해제 문제를 북·미 협상 의제에서 제외했다고도 밝혔다.


김 제1부부장은 “그(하노이 회담)때에는 우리가 거래 조건이 맞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위험을 무릅쓰고서라도 제재의 사슬을 끊고 하루라도 빨리 우리 인민들의 생활 향상을 도모해보자고 일대 모험을 하던 시기였다고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러나 2019년 6월30일 판문점에서 조·미 수뇌회담이 열렸을 때 우리 위원장 동지는 화려한 변신과 급속한 경제 번영의 꿈을 이루기 위해 우리 제도와 인민의 안전과 미래를 담보도 없는 제재 해제 따위와 결코 맞바꾸지 않을 것이라는 데 대해 분명히 천명했고, 이후 우리는 제재 해제 문제를 미국과의 협상 의제에서 완전 줴던져버렸다(내던졌다)”고 했다.


김 제1부부장은 나아가 “‘비핵화 조치 대 제재 해제’라는 지난 기간 조·미 협상의 기본 주제가 이제는 ‘적대시 철회 대 조·미 협상 재개’의 틀로 고쳐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미국의 대북 적대시가 철회되지 않는 한 협상보다는 자위력 강화에 힘을 쏟겠다는 의지도 밝혔다.


그는 “미 국무성이 대화 의지를 피력하는가 하면 대통령까지 나서서 우리 지도부와의 좋은 관계를 거듭 밝히며 조·미 수뇌회담 가능성까지 시사하는 마당에서 미 국방장관이라는 사람은 CVID(완전하게 검증 가능하고 불가역적인 비핵화)를 운운하며 우리 국가를 향해 ‘불량배 국가’라는 적대적 발언을 숨기지 않았다”면서 “어쨌든 조·미 수뇌들 사이의 관계가 좋다고 해도 미국은 우리를 거부하고 적대시하게 돼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우리에 대한 체질적 거부감이 토질병으로 돼버린 미국이 지금의 대선 위기를 넘긴다 해도 그 이후 우리를 향해 할 수많은 적대적 행동들을 예견해야 하며 우리는 지금 시점에서 현 집권자와의 친분관계보다도 앞으로 끊임없이 계속 이어질 미국의 대조선 적대시에 대처할 수 있는 우리의 대응 능력 제고에 더 많은 고민을 해야 할 때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트럼프 현 미국 대통령에 대한 우리 위원장 동지의 개인적 감정은 의심할 바 없이 굳건하고 훌륭하지만 우리 정부는 현 미국 대통령과의 관계 여하에 따라 대미 전술과 우리의 핵 계획을 조정하면 안 된다”면서 “우리는 미국으로부터의 장기적인 위협을 관리하고 그러한 위협을 억제하며 그런 속에서 우리 국익과 자주권을 수호할 전망적인 계획을 수립해야 하며 실제적인 능력을 공고히 하고 부단히 발전시켜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우리는 미국에 위협을 가할 생각이 전혀 없으며 이에 대해서는 (김정은) 위원장 동지도 트럼프 대통령에게 분명한 입장을 밝히신 적이 있다”며 “그저 우리를 다치지만 말고 건드리지 않으면 모든 것이 편하게 흘러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 제1부부장은 “회담탁자 위에서 무엇을 어떻게 더 빼앗아 먹겠는가만을 생각하는 미국과는 당장 마주앉을 필요가 없으며 미국의 중대한 태도 변화를 먼저 보고 결심해도 될 문제”라고 거듭 밝혔다.


그러면서 “우리는 결코 비핵화를 하지 않겠다는 것이 아니라 지금 하지 못한다는 것을 분명히 하며 조선반도(한반도)의 비핵화를 실현하자면 우리의 행동과 병행해 타방(상대방)의 많은 변화, 즉 불가역적인 중대 조치들이 동시에 취해져야만 가능하다”고 말했다.


김 제1부부장은 마지막으로 “(김정은) 위원장 동지는 트럼프 대통령의 사업에서 반드시 좋은 성과가 있기를 기원한다는 자신의 인사를 전하라고 하셨다”고 전했다.


이어 “끝으로 며칠 전 TV 보도를 통해 본 미국 독립절 기념행사에 대한 소감을 전하려고 한다”며 “가능하다면 앞으로 독립절 기념행사를 수록한 DVD를 개인적으로 꼭 얻으려 한다는 데 대해 위원장 동지로부터 허락을 받았다”고 덧붙였다.


이날 담화는 미국이 스티븐 비건 국무부 부장관 겸 대북특별대표의 방한과 맞물려 대화 의지를 피력한 뒤 나왔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7월7일(현지 시각) 3차 북미정상회담에 나설 의향이 있다고 밝힌 데 이어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도 9일(현지 시각) 북한과의 대화 재개를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
광고
포토뉴스
3월 둘째주 주간현대 1244호 헤드라인 뉴스
1/3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HumanPeace 많이 본 기사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