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읽고 새로 쓰는 古典再讀新書 人物論 [3]

이세민은 인내로 천하 얻고 자애로 사람 다스렸다!

글/이정랑(중국고전 평론가) | 기사입력 2020/03/27 [12:14]

다시 읽고 새로 쓰는 古典再讀新書 人物論 [3]

이세민은 인내로 천하 얻고 자애로 사람 다스렸다!

글/이정랑(중국고전 평론가) | 입력 : 2020/03/27 [12:14]

온갖 박해 견디며 때가 무르익기를 기다렸다 정변 일으켜
자애로 인심 얻고 인내로 때 기다리며 변통으로 적극 행동


소박한 성격에 날카로운 지혜 갖추고 겉모습은 맑고 경쾌
자애로울 땐 어머니같고 잔인할 땐 부모형제 가리지 않아

 

▲ 진시황 이후 최고의 패자 자리를 놓고 항우와 유방이 겨루는 이야기를 그린 영화 ‘초한지-천하대전’ 한 장면.

 

인내(忍耐)로 천하를 얻고 자애(慈愛)로 다스리다.


‘자애’는 부모가 자식을 대할 때처럼 사사로운 이해관계나 원칙이 없는 애정으로, 유가에서 말하는 ‘덕’보다 한 단계 더 높고 고귀한 가치다. 따라서 개인적 수양에서의 자애는 일종의 정신과 지혜의 최고 경지인 동시에 치세를 위한 기지이기도 하다.


자애로써 사람들을 감복시킨다는 것은 사람들에게 자애를 충분히 느끼게 하는 것이다. 이는 중정과 평화의 미덕을 갖춘 사람들만의 독특한 인격적 매력이다.

 

신하에게 자애 베풀어


당 태종 이세민(598~649, 재위 626~649)이 신하 장손무기(長孫無忌)에게 보여준 것이 자애의 좋은 본보기다.


장손무기는 장손황후의 친척으로, 일찍이 수(隋) 나라에서 우훈위(右勛衛)의 관직을 역임했으나 나중에 태원으로 가서 이연(李淵)에게 귀순하여 그와 그의 아들 이세민으로부터 깊은 총애와 신임을 받았다.


후에 그는 이세민의 명을 받들어 유홍기(劉弘基) 등과 함께 역적을 토벌한다는 명목으로 군사를 일으켰고, 이세민을 따라 성을 공격하면서 혁혁한 무공을 세우기도 했다.


고조가 즉위하자 그는 좌효위대장군(左驍衛大將軍)에 임명되는 동시에 설국공(薛國公)이라는 봉호를 얻었다. 무덕 9년(626)에 장손무기는 진숙보(秦叔寶) 등과 함께 ‘현무문 정변’에 참가하여 이세민이 권력을 잡는데 큰 공을 세웠다. 이세민은 황위에 오르자마자 그에게 궁녀들을 하사하고 항상 궁궐 내에 거처할 수 있도록 특별하게 대했다.


후에 장손무기가 관직을 이용해 뇌물을 받아 고발당하는 일이 발생했다. 당시의 법률대로라면 중벌에 처해야 했지만 태종은 그를 내칠 수 없었다. 태종이 신하들에게 말했다.


“장손무기는 외척의 신분으로 나라를 세우는 데 크게 기여한 개국공신이오. 관직도 높고 봉록도 후해 부유하고 존귀하기 그지없지만 한 가지 흠이라면 학문이 깊지 못한 것이오. 그가 고금의 사적을 읽고 자신을 살피는 거울로 삼을 줄 안다면 지금과 전혀 다른 면모를 보였을 것이오. 그가 지금 명예를 몰라 도를 무시하고, 지조를 지키지 못해 탐욕으로 뇌물을 받은 사실에 대해서는 짐도 몹시 당혹스럽게 여기고 있소!”


이렇게 말하면서도 태종은 그를 벌하지 않았을 뿐 아니라 조정 신하들이 보는 앞에서 비단 열 필을 하사함으로써 장손무기 스스로 부끄러움을 깨닫게 했다.


그러자 대리시소경(大理寺少卿) 호연(胡演)이 간언했다.


“장손무기가 법을 어기고 뇌물을 받은 죄는 처벌받아 마땅한 데 처벌은커녕 어째서 비단까지 하사하십니까”


태종이 대답했다.


“사람에겐 기본 성품이 있는 만큼 처벌을 받는 것보다 이유 없는 상을 받는 것이 더 괴로운 법이오. 그래도 부끄러움을 모른다면 금수에 불과할 것이고, 정말로 그가 금수에 지나지 않는다면 끌고 가서 목을 벤들 무슨 소용이 있곘소?”

 

▲ 사진은 영화 ‘초한지-천하대전’ 한 장면.  

 

忍이란 무엇인가?


그러나 얼마 지나지 않아 장손무기가 이효상(李孝常)과 사사로이 결당하는 죄를 범하자, 이번에는 태종도 그를 보호할 수 없어 결국 관직에서 물러나게 했다.


1년 후 공신들의 화상을 둘러보다가 장손무기의 초상을 발견하고 그에 대한 연민의 정을 느낀 태종은 우문사급(宇文士及)을 시켜 그의 생활 형편을 알아보게 했다.


얼마 후 장손무기가 매일 자책하며 술에 취해 산다는 보고가 올라왔다. 조정의 신하들도 그가 진심으로 후회하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태종은 그를 다시 불러 택주자사(澤州刺使)의 관직을 주고 봉작과 식읍을 부활시켜 주었다.


여기서 ‘인(忍)’이란 어떤 것인지 살펴보자. 인은 자애와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하지만 여기서 말하는 인은 일반적인 인내가 아니라 열세에 처했거나 부득이한 상황에 부닥쳤을 때 장래의 발전을 취하는 일종의 전략을 가리킨다. 또한 이는 일반적 의미의 전략이 아니라 세상사 모든 변화의 법칙을 통찰한 후에 마음 깊은 곳에서 우러나오는 일종의 의지를 말한다.


이러한 인내에는 역경과 고난, 치욕을 이기는 의지력뿐 아니라 쾌락과 부귀, 권력 등을 억제하고 이기는 의지력도 포함된다. 한마디로 말해서 흉한 일들을 피해 길한 방향으로 가는 일종의 지혜인 동시에 손해와 장애가 없는 원만한 상황을 유지해 나가는 처세의 지략이다.

 

인내로 때를 기다리고


고조 이연의 태자 이건성(李建成)은 부친의 지지 하에 제왕 이원길(李元吉)과 연합하여 이세민에게 압박을 가하기 시작했다. 한 번은 이건성이 동생 이세민을 연회에 초대하여 독을 탄 술을 먹인 적이 있었다. 이 술을 마신 이세민은 복통을 일으켜 집에 돌아와 피를 한 대야나 쏟은 다음에야 간신히 목숨을 건질 수 있었다.


또 한 번은 이건성이 부친 이연과 함께 사냥을 떠나면서 이세민에게도 특별히 말 한 필을 준비해주었다. 이세민이 말을 타고 사슴 떼를 쫓기 시작한 순간 광분한 말이 발작을 일으켜 이세민을 허공으로 내동댕이치는 바람에 하마터면 목숨을 잃을 뻔했다. 뒤에도 이건성의 음모는 계속되어 이원길의 출정을 위로하는 연회에서 이세민을 죽이려 한 일도 있었다.


이세민은 이 모든 박해와 압박을 참고 견디며 때가 무르익기를 기다렸다가 마침내 ‘현무문 정변’을 일으켜 일거에 태자 이건성과 그 잔당들을 죽여 버렸다. 그리고 부왕 이연을 제압하여 황위에서 끌어내고 자신이 그 자리에 앉았다. 인내의 도가 나라를 세우는 데 이르렀으니, 이는 인내의 가장 큰 용도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변통으로 적극적 행동


끝으로 ‘변(變)’에 대해 얘기해보자. ‘변’은 아주 간단한 도리이다. 사실 ‘자’와 ‘인’은 둘 다 수단에 속하지만 ‘변’은 목적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변’을 거쳐야만 이전의 ‘자’와 ‘인’이 지불한 대가가 보다 큰 보상으로 돌아올 수 있고, 이를 통해 자신의 공적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세민은 세태의 변화에 따라 정책 변경을 많이 했다. 형 건성을 죽이고 황제가 된 후, 대신 위징(魏徵)은 잔당에 대한 진압에 반대하면서 회유와 포용 정책을 펼 것을 주장했다. 당시 태자 이건성의 부하들은 전국에 포진해 있었고 현무문 정변이 일어나자 반격을 준비하는 사람들도 적지 않았다.


위징이 이세민에게 간언을 올렸다.


“사사로운 원한을 거두시고 이들을 공정하게 대하셔야 합니다. 그렇지 않고 피의 보복을 계속하다가는 끝없는 재난에 휘말리게 될 것입니다.”


위징의 조언을 받아들인 태종 이세민은 그를 특사로 보내 태자의 세력이 집중되어 있던 하북 일대의 민심을 안정시키기로 마음먹었다. 위징이 하북에 도착해보니 두 대의 수레에 현무문 정변 때 도망치다 잡힌 태자의 부하들이 가득 갇혀 있었다. 위징이 말했다.


“내가 장안을 떠나기 전에 조정에서는 이미 이건성과 이원길의 부하들을 사면하라는 명령이 내려졌소. 지금 이들을 잡아들이는 것은 조정의 위신을 해치는 일이오. 내가 이곳에 온 이유는 아직 그런 명령을 믿지 못하는 사람들을 깨우치기 위한 것이니, 이들을 지금 장안으로 압송하는 것은 헛수고일 뿐이오. 게다가 황상께선 이치안(李治安)과 이사행(李思行)을 석방하여 나를 수행하게 하면 업무에 큰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하셨소.”


사람들이 위징의 말을 듣고 당장 두 사람을 석방한 다음 태종에게 보고를 올리게 했다. 정확하고 합리적인 정책으로 하북 일대의 민심은 수습되었고 이세민은 자신의 정권을 더욱 공고히 할 수 있었다.


이처럼 전통적인 봉건 정치에서 보인 이세민의 통치는 자애로 인심을 얻고 인내로 때를 기다리며 변통으로 적극적인 행동을 취한 것이라고 요약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사실은 그가 중용의 인재였음을 보여준다.


그는 조용하고 소박한 성격에 날카로운 지혜를 갖추었고 겉모습 또한 맑고 경쾌하여 인재의 특성을 고루 갖추었다. 때문에 그는 자애로운 때는 어머니 같으면서도 잔인할 때는 부모 형제도 가리지 않았던 것이다.


중국인의 지략은 문화적 연원에 따라 몇 가지로 나눌 수 있지만 이러한 문화적 요소들은 독립적으로 드러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유형이 융합된 모습으로 발휘되었다.


이세민의 자애와 인내, 변통은 지모 중에서도 최상급에 속하지만 중급의 지모는 종종 순조롭게 운영되지 못하고, 권모술수의 흔적이 역력해서 사람들에게 불쾌감을 준다. 하급의 지모는 더 말할 것도 없다. 바로 여기서 인재의 상·중·하가 갈리는 것이다.

j6439@naver.com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
포토뉴스
3월 다섯째주 주간현대 1245호 헤드라인 뉴스
1/3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