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권의 별칭은 ‘공존(共存)정권’이 적당할 듯...

‘문민정부-국민의 정부-참여정부’ 등 별칭(別稱), 훨씬 친근감이 있는 것으로 느껴져

문일석 발행인 | 기사입력 2018/12/05 [10:42]

문재인 정권의 별칭은 ‘공존(共存)정권’이 적당할 듯...

‘문민정부-국민의 정부-참여정부’ 등 별칭(別稱), 훨씬 친근감이 있는 것으로 느껴져

문일석 발행인 | 입력 : 2018/12/05 [10:42]

▲문재인-김정은 남북 정상의 평양정상회담 장면.     ©청와대

 

각 정권은 정권의 공약 실천에 맞게 대 국민 홍보를 해왔다. 정권의 방향성-정체성을 담은 이름짓기가 있었던 것. 이승만-박정희-전두환 정권은 대통령 이름을 따서 불리었다. 그러나 노태우 대통령 때부터 대통령 이름이 아닌 별개 정권으로 불리기 시작했다. 노태우 정권=’보통사람’ 이미지로 각인됐다.

 

김영삼 정권은 아예 ‘문민정권’임을 내세웠다. 김대중 정권은 ‘국민의 정부’라고 했다. 노무현 정권은 ‘참여정부’라 했다. 이명박-박근혜 정권은 대통령 이름을 그래도 차용해서 불리었다.

 

‘문민정부-국민의 정부-참여정부’ 등의 별칭(別稱)은 대통령 이름을 딴 정권의 이미지 보다 훨씬 친근감이 있는 것으로 느껴진다.

 

그렇다면 문재인 정권에 대한 이미지는 어떤 것일까?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2017년 10월9일,  박근혜 전 대통령이 탄핵되고 수감상태에서 치러진 대선에서 당선된 대통령이다. 촛불정국이 만든 대통령이다. 그러나 촛불은 대규모 군중 시위상황을 대변하는 용어. 그래서 ‘촛불정권’이라고 표현하기는 어설프다.

 

문재인 정권은 임기 초반에 남북협력-서민을 위한 복지정책을 집중적으로 펴왔다. 민족적으로는 남북경제 공동체, 국내적으로는 가진 자와 못가진 자의 공생정책을 추진해온 것. 남북 적대관계를 풀어가는 과정에서 지난 9월18일부터 20일까지 북한의 평양에서 남북정상회담을 열었다. 문 대통령은 방북 때인 지난 9월19일, 평양 능라도 5.1경기장에서 평양시민 15만명을 상대로 연설을 가졌다. 이 연설 속의 내용이 문재인 정권의 정체성을 극명하게 표현하고 있다고 본다.

 

문 대통령은 “김정은 위원장과 나는 지난 4월27일 판문점에서 만나 뜨겁게 포옹했다. 우리 두 정상은 한반도에서 더 이상 전쟁은 없을 것이며 새로운 평화의 시대가 열렸음을 8000만 우리 겨레와 전 세계에 엄숙히 천명했다. 또한 우리 민족의 운명은 우리 스스로 결정한다는 민족 자주의 원칙을 확인했다. 남북관계를 전면적이고 획기적으로 발전시켜 끊어진 민족의 혈맥을 잇고 공동번영과 자주통일의 미래를 앞당기자고 굳게 약속했다”고 강조했고 “우리민족은 강인하다. 우리민족은 평화를 사랑한다. 그리고 우리민족은 함께 살아야 한다. 우리는 5000년을 함께 살고 70년을 헤어져 살았다. 나는 오늘 이 자리에서 지난 70년 적대를 완전히 청산하고 다시 하나가 되기 위한 평화의 큰 걸음을 내딛자고 제안한다. 김정은 위원장과 나는, 북과 남 8000만 겨레의 손을 굳게 잡고 새로운 조국을 만들어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남북공존을 통한 남북의 공생이 강조됐다. 연설 가운데 “끊어진 민족의 혈맥을 잇고 공동번영” 부분과 “우리민족은 함께 살아야 한다”는 부분은 ‘공존-공영’으로 축약될 수 있다.

 

국내 정책의 큰 이슈로도 ‘상생-공존’이 앞세워졌다. 문 대통령은 올 신년사에서 “제가 대통령이 되어 제일 먼저 한 일은 집무실에 일자리 상황판을 설치한 것이다. ‘사람중심 경제’라는 국정철학을 실천하기 위해서였다. 일자리는 우리 경제의 근간이자 개개인의 삶의 기반이다. ‘사람중심 경제’의 핵심에 일자리가 있다. 정부는 좋은 일자리 확대를 위해 지난해 추경으로 마중물을 붓고, 정부 지원체계를 전면 개편했다. 공공부문 비정규직의 정규직화가 시작되었고, 8년만의 대타협으로 올해 최저임금 인상률을 16.4%로 결정했다. 일자리 문제 해결에 앞장서는 기업들도 늘어났다. 노사 간에도 일자리의 상생을 위한 뜻 깊은 노력들이 시작되었다”고 강조하면서 “이러한 변화들을 확산시켜 나가겠다. 특히 최저임금 인상은 우리 경제의 체질을 바꾸는 의미 있는 결정이다. 저임금 노동자의 삶의 질을 보장하고 가계소득을 높여 소득주도성장의 기반이 될 것이다. 상생과 공존을 위하여, 소상공인과 영세 중소기업의 부담을 줄여주는 지원 대책도 차질 없이 실행할 것”이라고 피력했다.


문재인 정권이 대통령 이름을 딴 정권이 아닌, 과거 정부처럼 ‘문민정부-국민의 정부-참여정부’ 등의 별칭으로 부른다면, 어떤 용어가 적당할까? 아마 ‘공존(共存)정권’ 또는 ‘공영(共榮)정권’이 아닐까 싶다. 공존은 "함께 사는" "더불어 사는" 것을 의미한다.  남북이 평화 공존하고, 노사가 상생하며, 가진 자와 못가진 자가 복지정책을 통해 격차를 줄여가며, 더불어 살 수 있도록 공존하면서 공동의 번영을 구가하는, 즉 공영(共榮)으로 향하는 정책을 집중적으로 추진하는 정권으로 분석된다.

 

moonilsuk@naver.com

 

*필자/문일석. 시인. 본지 발행인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
포토뉴스
9월 둘째주 주간현대 1256호 헤드라인 뉴스
1/3
광고
광고
많이 본 기사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