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 "(의대 정원은) 국민 건강과 직결된 문제이고 숫자에 매몰될 문제는 아니다"
윤상현 "의료개혁 정부 방향 옳지만 2000명 얽매이면 대화의 빗장이 열릴 수 없다"
▲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4월 1일 오후 부산 해운대구 구남로광장에서 열린 ‘국민의힘으로 해운대살리기’ 지원유세에 나선 모습. © 뉴시스
|
윤석열 대통령의 의대 정원 확대 관련 '대국민담화' 발표 이후 여권 내에서도 탈당 요구 등 거센 반발이 나오고 있다. '의료대란' 사태가 여권의 악재로 바뀐 가운데, 총선을 9일 남겨둔 상황에서 발표된 윤 대통령의 담화가 오히려 선거에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하고 있는 것이다.
윤 대통령은 4월 1일 오전 대국민담화에서 "(의대 정원) 2000명 증원은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헌법적 책무를 이행하고 급격한 고령화에 대응하기 위한 최소한의 증원 규모"라고 주장했고, "의료계가 증원 규모를 2000명에서 줄여야 한다고 주장하려면 집단행동이 아니라 확실한 과학적 근거를 가지고 통일된 안을 정부에 제시해야 마땅하다"고 강조했다.
이날 부산 남구 지원유세에 나섰던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윤 대통령의 대국민담화에 대해 "국민 건강과 직결된 문제이고 숫자에 매몰될 문제는 아니다"고 밝혔다.
한 위원장은 "국민의힘 증원 숫자를 포함해 정부가 폭넓게 대화하고 협의해서 조속히 국민을 위한 결론을 내줄 것을 강력히 요청드렸다"며 "다수 국민은 의사 증원 필요에 공감한다. 하지만 지금 상황이 조속히 해결되는 것도 바란다"고 강조했다.
이어 "국민이 원하는 그 방향대로 정부가 나서주길 바란다"며 "정부여당으로서 함께 그 노력을 같이 해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윤 대통령의 담화에 기대를 걸었던 국민의힘 국회의원 후보들은 의·정 갈등 해결의 실마리가 보이지 않자 대통령의 담화가 되레 선거에 악영향을 미칠세라 전전긍긍하는 모습이다.
윤상현 인천 동·미추홀을 후보는 자신의 페이스북에 "전공의를 비롯한 이해관계자들을 직접 찾아가겠다는 등의 구체적인 해법이 제시되지 않아 안타까웠다"며 "의료개혁에 대한 정부의 방향은 옳지만 2000명에 얽매이면 대화의 빗장이 열릴 수 없다"고 지적했다.
윤 후보는 "정치의 본령은 대화와 타협이다. 서로의 이해관계가 적절히 조정될 수 있도록 정치력을 발휘해야 한다"며 "지금은 리걸 마인드(법률적 사고)가 아닌 폴리티컬 마인드(정치적 사고)가 필요한 때"라고 했다.
서울 마포을 함운경 후보는 오늘 오전 SNS에 "이제 더 이상 윤 대통령께 기대할 바가 없다"며 "행정과 관치의 논리에 집착할 것 같으면, 거추장스러운 국민의힘 당원직을 이탈해주기를 정중하게 요청한다"고 밝혔습니다.
함 후보는 다른 당에서 당적을 바꿔 이번 총선에 출마한 이른바 '체인저벨트' 후보들이 앞서 윤 대통령이 직접 나서 의료개혁 해법을 제시해달라 요청했고, "정치 지도자라면 대화와 타협을 통해 갈등을 조정하는 것이 최고의 책무라고 말씀드렸다"고도 했다.
그러면서 "오늘 대국민 담화는 한마디로 쇠귀에 경 읽기"라며, "말로는 의료개혁이라고 하지만, 국민의 생명권을 담보로 일방적으로 추진하는 의료개혁을 누가 동의하겠느냐"고 비판했다.
함 후보는 "앞으로 남은 9일 동안 공정한 선거관리에만 전념해 달라"고 윤 대통령에게 요구했다.
그러자 홍준표 대구시장은 SNS에 올린 글에서 "들어온 지 며칠 되었다고 감히 우리가 만든 대통령 당적 이탈을 요구하느냐"며 함 후보를 저격했다.
이어 "근본 없이 흘러다니다가 이 당에 들어와서 주인 행세 하는 것도 모자라 이제 우리가 만든 대통령을 탈당 요구하느냐"며 "능력이 안되어 선거에 밀리면, 동네 구석구석 돌아다니면서 읍소라도 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홍 시장은 또 "대통령 탓하며 선거 하는 여당 후보치고 당선되는 거 못 봤다"고 비판했다.
|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